본문 바로가기

정보저장소/금융

수억대 연봉, 헤지펀드는 대체 뭘까? - 1편

오늘은 헤지펀드에 대해 알아보자. 헤지펀드란 단어를 들어본 게이들은 많을거다.

연예인들 스캔들이 날 때도 자주 보게 되고, 드라마나 영화 같은데서도 자주 등장한다.

 

연봉이 어마어마하지...?



먼저 헤지펀드를 정확히 정의하기는 어려운데, 각 나라별로 의미도 다르고 정의도 다르다.

일단 헤지펀드를 알아보기 전에 헤지(Hedge)가 뭔지 짚어보자.

헤지는 영어로 울타리라는 뜻인데, 뭔가 위험이 있는 걸 막아 준다는 의미야.

너희들이 좋아하는 토토로 예를 들어볼게


2018년 월드컵 토토 베팅표가 이렇게 나왔다 치자


대륙별 베팅 

유럽국가 우승 1.8배 아시아국가 우승 4.2배.....등등

국가별 베팅


브라질 8배 영국 11배 호주 40배 중국 210배....등등



철수는 이번 월드컵은 무조건 유럽에 있는 국가가 우승할 것 같아서

유럽 우승에다가 전재산 100만원을 베팅했어.

영희도 유럽이 우승할꺼라 확신했지만 만에 하나 브라질이 우승해서 돈을 다 꼴아박는게 무서웠어

그래서 영희는 90만원을 유럽우승에 넣고 10만원을 브라질 우승에 넣었어

철수의 예상이 맞으면 180만원을 손에 넣겠지만 틀리면 100만원 원금 다 날리게 돼

영희는 예상이 맞으면 162만원이라 무혀니보다는 적게 벌겠지만 행여나 브라질이 우승해도 80만원이라는 어느정도 원금이 보장되지.

이렇게 서로 다른 상품으로 위험을 상쇄시키는걸 '헤지'라고 해

철수는 그냥 깡 베팅을 한 거고 영희는 나름대로 헤지를 한거지




헤지펀드의 등장

헤지펀드가 처음 등장한건 1930년대 쯤인데,

고대부터 지금까지 인간이란 동물은 돈을 불리고 싶어하는 투기욕구가 있었어.

처음에는 은행에 돈을 엄청 넣고 이자를 받으며 지냈지.

그러나 이자율이 떨어지기도 하고 이자만 가지고 만족하지 못 하면서 여러가지 상품에 투자하기 시작한거야.

이 때부터 등장한게 주식이나 채권, 금속과 같은 상품 등등이 있지.

그러면서 이러한 여러가지 상품을 조합해서 적절히 분산 투자 시켜주는 펀드들이 생겨나기 시작했어.



 

 

 




온갖 종류의 펀드가 생겨나기 시작했어. 금이나 철과 같은데 투자하는 펀드, 항공사들에 투자하는 펀드, 브라질에 투자하는 펀드 등등

 

 

 

투자자들 입맛에 맞는 펀드를 고르면서 수익률을 올리기 시작했지.

그런데 이러한 펀드들의 문제점이 하나 있었어.

바로 시장 수익률과 상관관계가 컸다라는 거야.

 
위 그래프는 S&P 500이라는 미국 시장 지표와 밴가드 중소기업 펀드, 중견기업 펀드를 비교한 것이야.

물론 펀드가 수익률이 좋았지만 여전히 시장이 떨어지면 같이 떨어지는 걸 볼 수 있지?

투자자들은 이런 부분이 마음에 안 들었어. 물론 시장을 이기는 수익률도 좋지만 시장이 운지하던 말던 꾸준히 얻는 수익률을 더 좋아했지.

그래서 시장과 관계 없는 대체 투자 방식 (Alternative Investment)을 찾기 시작했어.

그러다 시작한게 헤지펀드의 근간이 되는 전략인 롱숏(Long-Short) 전략이야.



시장 안에서도 분석을 통해서 상승세인 애들은 사고 같은 시장 노출도로 하락세인 애들을 파는거야.

여기서 핵심은 시장에 대한 노출도가 같아야 한다는거야. 이 노출도를 베타(Beta)라고 해


예를들어 철수가  분석을 했더니 앞으로 삼성이 상승세를 일으킬거고 애플이 하락세를 보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치자.

그리고 분석을 통해 시장이 10% 오를때마다 삼성도 10% 오르고, 애플은 20% 오른다는걸 알아냈다고 해보자.

(삼성은 베타가 1.1, 애플은 베타가 1.2)


무혀니 수중에 100만원이 있다면 무혀니는 삼성 200만원을 사고 애플 100만원 치를 팔꺼야. 

왜냐면 이러면 시장의 움직임과는 전혀 무관한 포트폴리오가 완성이 되기 때문이편지.


시장이 10% 오르면 삼성은 +220만원이 될테고 애플은 -120만원으로 될테니 결국 똑같이 100만원이 되는거야.

자 하지만 무혀니는 삼성의 가치가 더 오르고 애플의 가치가 떨어질거로 예측했지? 즉 예측이 맞다면 

삼성이 230만원이 되고 애플은 -80만원이 되어서 총 150만원이 되면 50%의 수익률을 내게 되는거야!


 

 

 



이렇듯 시장과 무관한 수익률을 올리게 되니 폭발적인 인기를 끌게 된거야.

하지만 위에서 봤듯이 이러한 전략을 구사하려면 주식을 팔 수도 있어야해. 즉 공매도를 할 수가 있어야 가능한 거였어.

공매도 뿐만 아니라 자금을 유연하게 움직이기 위해서는 아무래도 규제를 받을 수록 불리한거야.

그래서 최대한 돈 있는 사람들의 투자를 받아서 법적으로 공개되는 100명보다 적은 투자자로 구성을 했지.

일반적인 펀드들이 공개 모집을 해서 최대한 사람을 끌어모으는 것과는 반대인 모습이다.


 



그럼 규제가 적으니 여러가지 전략을 구사할 수 있겠지? 원래는 레버리지라는 기존의 산 증권을 담보로 

다시 돈을 빌려서 몇 배의 거래를 하는게 5배 정도가 최고인데

헤지펀드는 금융기관 규제를 벗어나기 때문에 50배 이런식으로도 레버리지를 걸고 투자를 해.

그리고 거대 지분을 가져가거나 몰빵하거나 이런것도 규제받는 전략들인데

헤지펀드는 그들의 자금을 운용하는건 지네들 맘으로 할 수가 있어.


이러니 분석능력만 어느정도 있으면 큰 돈을 만질 수 있게 되는거다!


애초에 투자은행이나 자산관리사들은 성과형 보수가 없기도하고 투자에 제약이 많아서 엄청나게 큰 돈을 만지기는 어렵다.

예를들어 1000억을 관리해주면 거기에 몇 %를 수수료로 떼고 돈을 불려주는 역할일 뿐인거야.


하지만 헤지펀드는 운용하는 비용 2%에 수익 내는 금액의 20%를 가져가는 2/20 룰이 보편화되었어.

이렇게 수익률의 20%를 가져가다보니 헤지펀드 트레이더들은 눈에 불을 키고 더 좋은 전략을 구사하려 하게 되고

수익률이 엄청날 경우에는 어마어마한 연봉을 받게 되는거야.


간단하게 소개하는데에도 생각보다 시간이 많이 들었네, 다음편에는 헤지펀드의 역사랑 다양한 헤지펀드의 전략을 알아보자.


2줄 요약
헤지펀드는 시장이랑 관계없이 돈버는걸 추구하는 펀드다
성과보수 때문에 엄청난 연봉을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