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요리저장소

[요리저장소] 창동역의 곱창을 아니? "백곱창과 양념곱창"


0. 들어가기 전


창동역은 내리자마자 곱창 포장마차가 일렬로 쭉 서 있다. 지금은 창동하고 많이 떨어진곳에 살아서, 그쪽을 갈일이 없어.

 

예전엔 친구들과 함께 창동역에서 곱창을 자주 먹었었지. 처음 곱창을 먹게된 곳도 거기야.


거긴 1인분 양이 다른 곱창집하고 달라서 상당히 양이 있었다. 시간이 지난 지금은 어떤지 모르겠지만 말야.

 

가끔 돼지곱창이 먹고싶어서 주위를 둘러보면, 왕십리 곱창이라던가의 상호로 곱창집이 많다.


똑같이 1인분에 8000원이지만 2인분 부터 주문이 되고, 양은 기절할 정도로 창렬이다.


애초에 야채곱창이라고 팔긴하는데, 곱창은 별로 없고 당면반에 풀반이다.


곱창만 원하는 사람들을 위해서 알곱창 이란 메뉴도 종종 보이는데, 2인분 사서 그 쥐똥만한 양에 놀라게 된다.


곱창에 소주좀 한잔 하겠다는데, 지갑에서 돈이 줄줄 흐른다. 고로 직접 집에서 만드는 법을 알아보자.





1. 재료


돼지대창 300g~350g : 쪼그만해서 쫄깃한 곱창이라고 파는건 돼지 대창부위다. 2kg로 판매한다.

파,마늘,생강,소금 : 필수다. 생강은 준비해 둔게 없으면 생략하자.

들깨가루, 후추 : 곱창집에서 아줌마가 검은 가루 팍팍 뿌리는게 전부 후추가 아니다. 들깨가루를 구해오자.

양파 : 창동 곱창은 곱창을 볶을때 양파가 들어간다. 근데 난 실수로 양념장 만드는데 양파를 다 써버렸어. 꼭 사용 하도록.

양념장 : 속칭 다대기. 이건 취향에 맞게 미리 만들어 둬야한다.

*설탕 : 난 양파를 사용하지 못했으므로 부족한 단맛을 설탕에서 보충할꺼야. 양파쓰는 사람들은 필요 없다.

*청양고추 : 매운맛을 원하면 넣어.


콩기름 : 예외없다. 콩기름 써.



먹어본 사람들은 알겠지만, 실제로 먹어보면 바깥에서 맡는 냄새랑 달리 별 비린내가 없어.


문제는 조리과정에서 대창에서 물이 빠지면서 수분이 증발하는데, 이때 상당히 역한 냄새가 나.


고로 환기는 필수야. 춥다고 문닫고 요리 할 경우, 가족과 함께 사는경우 무조건 등짝 스메싱이다. 주의하자.


곱창에 거부감 있는 사람들은, 이쯤에서 다른글로 넘어가렴. 괜히 보고 기분 상하지 말구.



 

 

 


 




2. 조리

 

대창을 대용량으로 밖에 안 팔아서, 구입하기 부담된다는 사람들도 있지?


그런데 이게 대창을 세척하고 급속냉동으로 얼려서 파는거라, 해동해서 실중량을 재어보면 상당히 차이가 난다.


게다가 특유의 쫄깃함 때문에 그 식감에 중독되서, 금방 다 먹게 되니 걱정하지 않아도 좋아.

 

봉지 상태로 어느정도 해동을 하면 곱창이 큰 덩어리째 분리가 돼. 이걸 물에 담궈서 좀 놔두면, 잘게잘게 나눠진다.

 

그럼 소분을 하자. 개인들 취향에 맞춰서 한번에 먹을만큼 담으렴.

 

야채를 손질하자. 다시한번 강조하지만 양파가 들어가야 한다. 사진에는 청양고추가 들어가 있지만,

난 양념장 맛을보니 충분히 매워서 그냥 뺐어.

마늘을 편으로 썰어주자.

 

파도 송송썰어 준비해줘. 야채손질은 끝이야. 양파는 결 따라서 1자로 썰어주면 된다.

 

불을 약불로 한 후 식용유를 넣자. 4큰술 정도 넉넉히 넣어서 고소함을 살려야 해.


그리고 바로 파와 마늘을 넣자. 기름이 덜 달궈진 상태로 말야.

괜히 센불에서 익혀봤자 향이 베어나오지 않아.

 

약불에서 천천히 익히면서 파기름을 내자. 


색이 변하기 시작하면, 준비가 됬어. 불을 세게 올리자.

 

그리고 대창을 투입한다.

 

그리고 잘 섞어줘. 얼마안가서 흰 물이 나오기 시작해.

 

이런식으로 말야. 이제부터 곱창의 비린내가 훨훨 난다.


이 과정에서 냄새가 안나는 곱창들은 뭔가로 화학처리가 된거야.

 


이 물기를 다 날려줘야 해. 굳이 열심히 저어줄 필요 없이 그냥 기다리면 된단다.

 

 


물이 다 날아간 모습이야. 이제 부재료들을 넣어주는거야.

즉 양파도 이때 넣는거야! 사진에 없지만 헷갈리지 말자. 

 


들깨가루 자신있게 1작은술. 혹시라도 들깨가루가 너무 좋아서 1큰술을 넣고 싶은 사람들도 있겠지만,

조리과정에서 1작은술 사용하고, 먹다가 부족하면 추가로 찍어먹자.

 

 


들깨까루를 뿌려주고,

 

 


후추도 팍팍 자신있게 뿌려줘.

 

 


간을 해줘야 겠지. 다데기에 찍어먹을 사람들은 1작은술이 안되게, 위의 사진처럼 소금을 쓰면 돼.

그냥 곱창 흰채로 먹을 사람들은 1작은술이 꽉차게 간을 잡아줘야 심심하지 않아.

 

 


잘섞어주자.

 

 


곱창이 원하는 익힘정도가 될때까지 볶아주자.

양파를 넣은 사람들은 최소 양파가 숨이 죽을정도 까지 볶아주면 돼. 제육볶음이랑 비슷하단다.

난 바삭한게 좋다고 이걸 너무볶아버리면, 곱창의 쫄깃한 맛이 사라지니깐 주의하렴.

 

 


짠!

 

 


참깨를 뿌려서 마무리 하자.

 

 

 

 

 

 


여기까지가 백곱창이야. 이젠 양념곱창으로 가자. 방법은 같으니, 복습할겸 몇가지만 집고가자.

 

 


콩기름 충분히!

 

 


약불에서 파기름을 내는거야!

 

 


곱창물 날리는 과정에서 냄새를 주의해!

 

 


다 날려줬으면 열심히 볶아줘.

 

 


슥슥!

 

 


만들어둔 다데기를 본인 취향만큼 넣자. 한큰술 반이면 충분해.

그리고 다데기에 양파가 들어가서, 양념곱창엔 굳이 양파를 넣을 필요는 없어. 좋아하면 상관없지만.
 

 


그리고 열심히 볶아주자. 양념장에서도 물기가 나오는데 이걸 다 날려주면 어느정도 마무리가 된거야.

취향에 따라 약간 양념을 태워서 더 꼬소하게 먹어도 좋아.

 

 


마무리 직전에 후추를 뿌려서 섞어주면 완성!

 

 


역시 알곱창은 은박지 위에 있는게 제 맛이야.
 

 


거기에 참깨를 뿌려주면 완성!